사회철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고, 문화예술의 공공성으로 다수의 논문을 낸 김동규 저자는 『공공예술의 철학, 임계의 미학』에서 공공성 이론의 권위자인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으로는 공공예술의 저항적이고 전복적 측면을 결코 설명할 수 없다고 지적합니다. 공공예술의 공공성을 설명하기 위해 ‘임계적 공공성’이란 개념을 사용하는데요. ‘임계적 공공성’이란 기존 공공성의 장에 임계의 긴장을 부여하는 가능성의 저력입니다. 이는 기존 공공성이 가진 배제의 힘을 전복하는 일을 뜻합니다. 저자는 ‘예술(art)’을 ‘기술(art)’로 되돌리는 전복, 특권적 감각을 일상의 감각으로 되돌리는 전복으로 문화민주주의를 실현하자고 주장합니다. 해외에서도 공공예술을 심도 깊게 다룬 책이 드물어 이 책의 중요성이 매우 큰데요!
공공예술을 다룬 최초의 이론서, 『공공예술의 철학, 임계의 미학』이 부산일보, 국제신문에 소개되었습니다.

■공공예술의 철학, 임계의 미학
공공예술 작업이 즐비하지만, 한 번도 그 작업을 이론적으로 정당화한 적이 없었다. 상황이 이러니 현장에서는 공공예술 작업을 어떻게 해야 할지 방향을 잃고 헤매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공예술 최초의 이론서가 발간되었다. 해외에서도 공공예술을 심도 깊게 다룬 책이 드물어 이 책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 김동규 지음/산지니/560쪽/3만 8000원.
출처: 2025년 3월 20일, 김효정 기자, 부산일보
[이 주의 새책] 공공예술의 철학, 임계의 미학 外
■공공예술의 철학, 임계의 미학공공예술 작업이 즐비하지만, 한 번도 그 작업을 이론적으로 정당화한 적이 없었다. 상황이 이러니 현장에서는 공공예술 작업을...
www.busan.com

# 공공예술이 지닌 문화민주주의
공공예술의 철학, 임계의 미학- 김동규 지음 /산지니 /3만8000원
미술관에서 벗어나 일상 공간으로 확장되는 공공예술의 문화민주주의를 주장하는 책. 해외에서도 공공예술을 심도 깊게 다룬 책은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에서 이 책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사회철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고, 문화예술의 공공성으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한 저자는 공공성 이론의 권위자인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으로는 공공예술의 저항적이고 전복적 측면을 결코 설명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저자는 ‘예술(art)’을 ‘기술(art)’로 되돌리는 전복, 특권적 감각을 일상의 감각으로 되돌리는 전복으로 문화민주주의를 실현하자고 주장한다.
출처: 2025년 4월 3일, 박현주 책 칼럼니스트, 국제신문
[박현주의 신간돋보기] 그림과 함께 보는 시산문 50편 外
# 그림과 함께 보는 시산문 50편 감정 많은 사람- 박용하 시산문 /달아실 /1만4000원 1989년 ‘문예중앙’으로 등단한 박용하 시인의 시산문집...
www.kookje.co.kr
▼ 『공공예술의 철학, 임계의 미학』 구매하기
공공예술의 철학, 임계의 미학 : 알라딘
공공예술 작업이 즐비하지만, 한 번도 그 작업을 이론적으로 정당화한 적이 없었다. 그래서 공공예술 저서는 늘 사례를 소개하는 수준에 그쳤다. 상황이 이러니 현장에서는 공공예술 작업을 어
www.aladin.co.kr
'기타 > 언론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가 예술가가 될 수 있는 기술, 공공예술을 알려주는 『공공예술의 철학, 임계의 미학』이 교수신문에 소개되었습니다. (0) | 2025.03.21 |
---|---|
여러분은 제대로 걸어가고 계신가요? :: <웹진 엄브렐라> 김균탁 서평 『못 걷는 슬픔을 지날 때』 (0) | 2025.03.20 |
여성의 날 뭐 읽지? 전문가 추천 페미니즘 도서 『작업장의 페미니즘』 _ 여성 신문 소개 (0) | 2025.03.19 |
[웹진 <브릭스> 인터뷰] "여행과 일상의 밸런스를 맞추는 ‘트라밸’이 필요해"_ 『쓰기 위해 또 떠납니다』 우지경 여행 작가 (0) | 2025.03.17 |
수지의 가족사를 따라 세계사의 질곡을 느껴보자_『수지가 만난 세계』 중앙선데이 소개 (0) | 2025.03.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