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5390 제40회 박향 저자와의 만남 - 생생기록 포스팅 지난 10월 25일 목요일, 정해진 시간보다 조금 늦은 7시 10분 제 40회 『즐거운 게임』저자이신 박향 선생님과의 만남을 시작했습니다. 오늘은 특별히 ‘책과 아이들’이라는 아동서적전문서점에서 열렸습니다. 이곳은 교대 지하철역 근처에 위치해 있는데, 아름다운 풍경의 정원과 동화 나라로 꾸며진 내부가 인상적이었습니다. 박향 선생님은 2005년 소설집『영화 3편을 보다』를 집필하셨고 2010년 『얼음꽃을 삼킨 아이』로 두 번째 소설집을 선보이셨습니다. 오늘 ‘저자와의 만남’ 사회는 문학비평가 윤인로 선생님께서 맡아주셨습니다. 서점 옆에 자리한 까페에는 박향 선생님을 기다리는 분들로 가득 찼었는데요, 입구에 계신 윤인로 선생님 역시 독자 중 한 분인 줄 알고 있었는데 시간이 되자 앞쪽으로 나가시는 것을 보고.. 2012. 10. 31. 『사람 다치지 않았느냐』- 그리고 말에 대해서는 묻지 않으셨다 또 전복라면입니다. 출간 간격이 좁아서 『황금빛 물고기』와 이 책을 한꺼번에 소개해 드리게 되었네요. 『사람 다치지 않았느냐』는 20년 넘게 기자 생활을 했던 부산일보 논설위원 윤현주 기자가 기자적 시각으로 논어를 해석하고 이를 현실에 적용한 글입니다. 부유한 선진국처럼 보이는 대한민국. 하지만 국민들은 왜 행복하지 않을까요? 저자는 그 원인을 과도한 경쟁이라 보았습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저자는 사람이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을 논어에서 구하고 있습니다. (공자의 집) 마구간에 불이 났다. 공자께서 조정에서 돌아와 이를 알고 말했다. “사람이 상했느냐?” 그리고 말(馬)에 대해서는 묻지 않으셨다.(廐焚 子退朝 曰 傷人乎 不問馬-향당편 제12장) 공자의 인본주의 정신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는 구절이다. .. 2012. 10. 31. 고기야 고기야 강변 살자-『황금빛 물고기』 안녕하세요, 전복라면입니다. 아침저녁으로 날씨가 쌀쌀해 저는 요즘 꼭 손수건을 들고 다니면서 머플러처럼 목에 두르고 다닙니다. 목을 따뜻하게 하는 게 감기 예방에 도움이 많이 된다고 하네요. 시차보다 무서운 기온차 때문에 월남에서 돌아오신 편집장님은 벌써 감기에 걸리셨답니다. 편집장님의 쾌유를 빌며 산지니의 사랑스런 새 동화책 『황금빛 물고기』를 여러분께 선보이겠습니다. 산지니의 아동청소년 총서 ‘꿈꾸는 보라매’의 네 번째 책 『황금빛 물고기』는 사람과 자연이 평화롭게 공존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하는 그림책입니다. 흘러흘러강의 황금빛 모래를 먹고 살아 온몸이 금빛으로 빛나는 황금빛 물고기. 이 개구쟁이 물고기는 흘러흘러강을 일터로 살아가는 금모래마을 사람들을 돕는 착한 친구입니다. 고기 잡는 아저씨에게 .. 2012. 10. 31. 책드림콘서트-고은 선생님을 만나다. 고은 선생님을 만나러 갔습니다. 29일, 어제 부산역 광장에서 열린 '2012 독서나눔캠페인 책책폭폭 책드림콘서트' 에 고은 선생님을 만나고 왔습니다. '책드림콘서트'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코레일이 주최하고 한국문화복지협의회 주관으로 이루어진 독서 운동 사업으로 진행된 행사입니다. 행사 전 야외부스에서는 에코 손수건 만들기, 압화 책갈피 만들기, 보수동 책방골목 사진전, 책 나눠주기 등 작은 부스에 알찬 행사들이 열렸습니다. 물론 가을과 너무 잘 어울리는 흥겨운 통기타 노래도 함께했습니다. 공연이 무르익자 고은 선생님이 무대 위에 올라왔습니다. 출판저널 정윤희 대표 사회로 작가와의 대화가 이어졌습니다. 고은 시인은 한국문학의 100년에 산 증인이자 이제 등단 55주년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이날 만큼은 시인이.. 2012. 10. 31. 산지니안 3th 독토 <즐거운 게임> 산지니 청년기획위원 산지니안들이 가을이 깊어가는 10월의 어느 밤에 모여서 독서토론을 했습니다. 이번 토론책은 따끈따끈한 신간 이었는데요. 소설을 보면서 느꼈던 점과 여러 단편소설들을 관통할 수 있는 주제들 - 가정의 해체와 남녀간의 성역할, 직업관, 삶과 죽음 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가족의 해체와 진정한 공동체 모색 블루 단편소설집이지만, 전체적으로 가족이 해체된 분위기가 있었죠. 다들 어떻게 읽으셨나요? 옐로 먼저 어느 가족의 이야기가 가장 어두웠는지 이야기해 볼까요? 저는 ‘대화법’이 읽으면서도 소화가 안되고, 어린이 성언이의 심리상태도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석할지 난감했어요. 블루 충격적인 내용이었죠. 설마, 설마 하는데 그렇게 전개가 됐어요. 책을 다보고 나니 울적한 기분이 들었고요. 블.. 2012. 10. 30. 주간 산지니-10월 넷째주 안녕하세요, 전복라면입니다. 오랜만에 슬로건 한번 외쳐볼까요? 오피스 농담리더들의 필독지이자 개나리저널리즘을 선도하는 주간 산지니! 즐거운 금요일 보내세요! 사진 동그라미는 '축 귀국' 이라고 쓰여있는데 사진이 잘 안 보이네요. 전성욱 선생님의 강의 듣고 싶은 분들은 http://sanzinibook.tistory.com/673 요기서 보시면 됩니다. 2012. 10. 26. 이전 1 ··· 793 794 795 796 797 798 799 ··· 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