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턴일기274

[독서토론] 목표를 향한 그의 열정, 『세상에 나를 추천하라』를 읽고 토론을 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산지니 인턴 남경희 입니다 :) 현재 산지니에는 저를 포함한 5명의 인턴들이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저희 인턴들은 함께 모여 산지니의 책 『세상에 나를 추천하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는데요. 독서 토의 형태로 진행되었습니다. 『세상에 나를 추천하라』에 대한 어떤 의견과 이야기들이 오갔는지 함께 보실까요? [경희, 사회자] 먼저 독서 토의에 들어가기 앞서 책에 대해 간단한 소개와 토의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세상에 나를 추천하라』는 대만의 유명한 강연자 및 사회자인 정쾅위가 쓴 자기계발서로, 그의 성공담이 아주 솔직하게 담겨 있습니다. 이번 독서 토의에서는 저자 정쾅위의 삶과 태도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자신의 삶에 대해서도 고민해볼 것입니다. 1. 이렇게 다 같이 모여서 ‘.. 2020. 1. 21.
[저자와의 인터뷰]『오전을 사는 이에게 오후도 미래다』의 저자 이국환 교수님 인터뷰 안녕하세요. 저는 산지니 인턴 남경희 입니다 ^_^ 얼마 전 올린 『오전을 사는 이에게 오후도 미래다』의 서평에 이어 저자 이국환 교수님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교수님께서 바쁜 일정을 쪼개어 흔쾌히 저와의 인터뷰에 응해주셨는데요. 책과 삶의 가치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어 볼 수 있는 뜻 깊은 시간을 가졌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는지 자세히 들여다볼까요? Q. 작년 7월 『그냥, 꼭 읽어 보라고 』를 출간하시고, 연이어 『오전을 사는 이에게 오후도 미래다』를 출간하셨는데요. 매우 바쁜 한 해를 보내셨을 것 같아요. 그런 와중에 어떤 마음으로 『오전을 사는 이에게 오후도 미래다』를 출간하셨나요? A. 저는 살아가며 ‘어떻게 살 것인가’에 관한 고민이 많았습니다. 예컨대, 고독이란 무엇인가,.. 2020. 1. 20.
[저자와의 인터뷰] 이 시대의 진정한 가치를 묻다 『실금 하나』정정화 작가 인터뷰 안녕하세요:) 산지니 인턴 구경민입니다. 지난번에 올렸던 『실금 하나』 서평에 이어 저자와의 인터뷰를 진행하게 되었는데요. 원래라면 직접 찾아뵙게 질문을 드려야했지만, 작가님이 계신 곳과 거리가 너무 멀어 이렇게 서면 인터뷰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책을 읽고 나서 궁금했던 것들에 대해 작가님이 상세하게 답변을 해주셨는데 다같이 한번 보러 가실까요? Q. 2017년이 출간된 『고양이가 사는 집』 이후로 두 번째 소설집을 출간하시게 된 소감과 첫 번째 소설집과 비교해 두 번째 소설집 『실금 하나』에 더욱 신경을 쓰신 부분은 어떤 것들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A. 두 번째 소설집 『실금 하나』를 낸 소감은 설렌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초기에 두 번째 소설집을 낸다고 생각했을 때는 이런 기분이 들지 않았.. 2020. 1. 20.
[저자와의 인터뷰] 『골목상인 분투기』의 이정식 저자님 인터뷰 안녕하세요 산지니 인턴 허성일입니다. 지난번에 골목상인 분투기를 읽고 쓴 서평에 이어서 저자님의 인터뷰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얻게 되었습니다. 갑작스럽게 저자님께 연락을 드렸지만 바쁘신 와중에도 흔쾌히 인터뷰 요청을 수락해주셔서, 저자님이 계신 중소상공인 살리기 협회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저자님께 인터뷰를 하면서도 인생의 선배로서 많은 이야기도 해주셨는데요. 인터뷰를 하러 갔다가 오히려 더 많이 배우고 왔다고 느꼈습니다. 저자님과 어떤 이야기를 주고받았는지 함께 보실까요? : ) Q. 반갑습니다 ! 간단하게 저자님의 소개를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A. 나이로는 만 55세, 우리나라로는 56세인 자영업을 약 22년 하다가 지금은 중소상공인 살리기 협회의 상근회장을 맡고 있는 이정식입.. 2020. 1. 17.
[서평] 『골목상인 분투기』 오늘도 행복한 자영업자를 꿈꾸다 “거대자본에 맞서 지역 상권을 지킨 중소상공인살리기 운동, 그 13년의 기록“ 2006년, 중소기업을 보호하던 고유업종제도가 폐지되면서 대기업들이 무차별적으로 중소기업 분야에 진출했고, 온갖 방법을 동원해서 중소기업을 대기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제도인 사업조정제도에서 빠져나가려고 했고, 결국 그해 말부터 기업형 슈퍼마켓(SSM:Super SuperMarket)이 점차 늘어나기 시작했다. 개인 슈퍼마켓이 거대 자본과 조직을 가진 대기업 슈퍼마켓에 혼자 맞설 수 없기에, 지역 상인들은 다 같이 힘을 모아 자신들의 상권을 지키기 위해 생업까지 뒤로하고 맞섰다. 이 책은 그 상인들이 자신들의 상권을 지키기 위해 싸워왔던 내용과 결과뿐만 아니라, 전국 주요 도시들의 자영업자들이 겪고 있는 사연, 이들이.. 2020. 1. 9.
김민주 작가의 에세이 『나는 개성공단으로 출근합니다』 를 읽고 김민주 작가의 에세이 『나는 개성공단으로 출근합니다』 를 읽고김민주 저|산지니|2019.12.20|222쪽 [저자소개] 90년대 수많은 아사자를 낳은 북한의 식량난은 그녀에게 체제와 이념을 넘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이 책의 저자인 김민주 작가는 통일부 사회문화교류 과와 유엔세계식량계획(UNWFP) 민간협력 분야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난의 행군” 시절 성장기를 보낸 북한 주민들의 영양결핍에 대한 논문을 썼고, 개성공단 영양사 구인공고를 본 그녀는 석사를 졸업한 그달 휴전선을 넘어 개성 땅으로 향한다.개성공단의 누리미 공장동 외에 공단 내 버스사업소 등 북한 노동자 3,000여 명을 위한 급식 식자재 반·출입 및 북한 직원 관리 총괄 업무 등을 하며 그들의 ‘점장 선생’으로 사계절을 함께 보냈다. 개성공단의.. 2020. 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