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487 산지니 소식 115호 _[3·1절 특집] 산지니가 주목한 두 명의 독립운동가 내일은 제104주년 삼일절입니다. 구독자분들은 삼일절을 어떻게 보내시나요? 저는 이맘때마다 TV에서 방영되는 영화 과 , 를 보곤 합니다. 그중 은 ‘박열’이라는 독립운동가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린 영화라 더욱 뜻깊은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10대 독립운동가, 여성 독립운동가 등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독립운동가들의 삶이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 산지니 소식에서는 삼일절을 기념하며 산지니가 주목한 독립운동가 두 명을 소개하려 합니다. 우리가 몰랐던, 역사 속에 잊혔던 독립운동가를 지금 만나보시죠. 뉴스레터 보기: https://stib.ee/HM57 2023. 2. 28. 현직 경찰관의 눈으로 바라본 고독사 현장 ::『고독사는 사회적 타살입니다』카드뉴스 2023. 2. 27. 우리는 고독사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_『고독사는 사회적 타살입니다』 :: 책소개 책소개 가장 쓸쓸한 죽음 고독사 우리는 왜 고독사를 막지 못하는가 고독하게 살고, 고독하게 죽는다 2021년 고독사 사망자 수는 총 3,378명. 하루 9명꼴이다. 1인가구 중심의 가족 구조 변화, 주변 사람들과의 단절 등으로 고독한 죽음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2022년 발표된 첫 고독사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독사 사망사례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8.8% 증가했다. 그러나 늘어나는 고독사에 비해 사회 인식은 턱없이 부족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다. 고독사 기준도 모호하다. 현행 법률에서는 고독사를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발견되는 죽음’이라 정의한다. 여기서 ‘일정한 시간’은 복지 담당자의 자의적 해석으로 결정된다. 우리 사회는 고독한 죽음과 고독한 생이라는 과제에 직면했.. 2023. 2. 27. 쓸쓸한 삶, 고독한 죽음 :: 『고독사는 사회적 타살입니다』 편집후기 안녕하세요, sun 편집자입니다. 최근 신문에서 고독사 기사가 많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그만큼 고독사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 것이겠죠. 그래서일까요, 2022년에 첫 고독사실태조사가 발표되었습니다. 2021년 고독사 사망자 수는 3,378명으로 최근 5년간 증가 추세였다고 합니다. 부산 고독사 역시 증가 추세입니다. 하지만 아직 고독사에 대한 규정이 명확하지 않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고독사 예방법에 따르면 고독사란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홀로 사는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혼자 임종을 맞고, 시신이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에 발견되는 죽음을 말합니다. 여기서 이 일정한 시간이 구체적이지 않아 담당 공무원이 자의적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편집을 하며 왜 지자체가 발표한 고독사 수와 현장에서 수습한 고.. 2023. 2. 27. 좀비 그림판 만화 147회 절대 바이럴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찡긋. ASMR, 수면음악, 백색소음...많은 방법을 써봤지만 우주다큐만큼 잠들기에 좋은 영상은 없었습니다. 수업시간에 잠이 잘 오는 것과 같은 원리겠지요... 2023. 2. 25. 한국의 전통무용을 조선무용이라고 부르자!_『조선무용의 미학과 하이데거의 진리』 부산일보 언론 소개 여러분은 한국무용에 대해 잘 아시나요? 해외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케이팝 연말 무대들을 보면 한국적인 춤선을 녹여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드러내기도 하는데요. 여러분은 어떤 것이 한국무용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 무대의 춤들은 한국무용이라고 부를 수 있을까요? 우리는 한국적 무용과 한국의 전통무용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인이 추는 무용이라고 해서 우리가 떠올리곤 하는 전통적인 한국무용은 아니잖아요. 하지만 한국무용이라는 단어 자체는 전통과 현대, 국적, 장소 등 모든 것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쓰이고 있죠. 이에 『조선무용의 미학과 하이데거의 진리』에서는 한국의 전통무용을 정의할 수 있는 단어를 제시하는데 그것이 바로 "조선무용"입니다. 간장도 전통식 간장을 한국간장이라고 하지 않고 조선간장이라고 부른.. 2023. 2. 24. 이전 1 ··· 4 5 6 7 8 9 10 ··· 748 다음